-
교육기간
2개월
-
수업일
평일반(월~금)
주 5일주말반(토, 일)
주 2일 -
상담문의
050-6616-9999
Hacking Trace 과정 소개
유비쿼터스 사회로 진화하면서 고도화 된 사이버 범죄, 인터넷 기반 각종 해킹, 침해 사례가 번번하게 일어나고 있습니다. 개인정보 유출로 인해 정보를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정보보호에 필요한 체계적인 관리와 기술을 학습하며 동시에 모의 해킹을 할 수 있는 보안의 고급 과정입니다.Hacking Trace 과정 학습목표
-
01
모의해킹의 개념과 그 필요성을 이해하고 팀
단위로 진행되는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실무와
유사한 프로젝트 진행을 경험합니다. -
02
보안 컨설팅 대상이 되는 가상의 회사 인프라를 구현해봄으로써 규모 있는 서비스의 인프라
환경에 대해 이해하게 되며 침투 시나리오에
따라 보안성을 점검하고 결과 분석 및 개선방안 수립의 과정을 통해 모의해킹에 필요한 실무
기술을 익히게 됩니다. -
03
사이버 범죄에 대해 능동적으로 대응 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 할 수 있고 각 조별 침투테스트 및
시스템 취약점 진단 결과와 개선방안을
공유하여 다양한 사례와 해결방안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.
Hacking Trace 과정 커리큘럼
주제 | 소주제 |
---|---|
해킹트레이스1 소개 | 해킹트레이스1 개념 및 필요성 숙지 |
IT Infra 구축을 위한 사전준비 | 조별(1인 ~ 5명) 구성 및 역할 분배(조장 선임) |
IT Infra 구축을 위한 GNS3, VMWARE 사용법 리뷰 | |
조별 구축 계획 수립 | 조별 구축 계획서 작성 및 발표(조장) |
가상회사 IT Infra 설계 | 가상회사 IT Infra 이해 및 설계 - GNS3, VMWARE 이용 |
가상회사 IT Infra 구축 1 | 1차시: 조별 담당인원별 네트워크, 시스템, 웹 서비스 구축(Web, DB, DNS, DHCP, SSH 서버 등) |
1차시: 조별 서버 1~2대, Web 1대, DB 1대, 스위치 및 라우터 2대 등 | |
2차시: 조별 담당인원별 네트워크, 시스템, 웹 서비스 구축(Web, DB, DNS, DHCP, SSH 서버 등) | |
2차시: 조별 서버 1~2대, Web 1대, DB 1대, 스위치 및 라우터 2대 등 | |
가상회사 IT Infra 구축 2 | 1차시: 조별 담당인원별 네트워크, 시스템, 웹 서비스 구축(Web, DB, DNS, DHCP, SSH 서버 등) |
1차시: 조별 서버 1~2대, Web 1대, DB 1대, 스위치 및 라우터 2대 등 | |
2차시: 조별 담당인원별 네트워크, 시스템, 웹 서비스 구축(Web, DB, DNS, DHCP, SSH 서버 등) | |
2차시: 조별 서버 1~2대, Web 1대, DB 1대, 스위치 및 라우터 2대 등 | |
결과 분석 및 결과 보고서 작성 | 각 영역별(네트워크, 서버, DB, 네트워크, 보안장비) 구축 시 문제점 및 개선내역 분석 |
향후 취약점 진단 계획 공유 | 구축 결과 및 향후 침투테스트(취약점 진단 포함) 계획에 대한 보고서 작성 및 공유 |
해킹트레이스2 소개 | 해킹트레이스2 개념 및 필요성 숙지 |
가상회사 IT Infra 취약점 분석 | 조별(1인 ~ 5명) 구성 및 역할 분배(조장 선임) |
침투테스트 시나리오 수립 | 조별 취약점 진단 및 침투 계획서 작성 및 발표(조장) |
침투테스트 시나리오 수립(조별 4~5개) | |
시나리오별 침투테스트 수행 1 | 시니리오별 침투테스트 환경 준비 및 조원별 역할분담 |
시나리오 1번 ~ 3번 침투테스트 수행 - 내부자 관점 / 외부자 관점의 시나리오 | |
시나리오별 침투테스트 수행 및 결과분석 | |
시나리오별 침투테스트 수행 2 | 시나리오 4번 ~ 5번 침투테스트 수행 - 내부자 관점 / 외부자 관점의 시나리오 |
시나리오별 침투테스트 수행 및 결과분석 | |
결과분석에 따른 개선방안 수립 | |
시스템 대상 취약점 진단 1 | 시스템 대상 취약점 진단 체크리스트 작성 및 확정 windows, linux, DBMS, 스위치, 라우터, UTM |
서버, DBMS 대상 취약점 진단 수행 Script를 이용한 자동진단, 실사를 통한 수동진단 | |
시스템 대상 취약점 진단 2 | 네트워크, 보안장비 대상 취약점 진단 수행(Config 분석, 실사를 통한 수동진단) |
취약점 진단 결과 분석 및 개선방안 수립 | |
서버, DBMS, 네트워크, 보안장비 전체 시스템 대상 | |
침투테스트 및 취약점 진단 결과 분석 및 개선방안 수립 | 취약점 진단 결과 분석 및 개선방안 수립 |
침투테스트 및 취약점 진단 결과 보고서 작성 및 발표 | |
최종 결과 보고서 작성 및 공유 | 각 조별 침투테스트 및 시스템 취약점 진단 결과 및 개선방안 공유 |
수강신청 절차 안내
-
STEP1
온·오프라인 1:1 교육컨설팅 -
STEP2
학습계획 수립 -
STEP3
교육비 납부 및 수강신청 -
STEP4
교육 진행
교육후기 더보기
-
최호진 #C언어 #Python 기초
보안전문가를 꿈꾸는 최호진입니다!
-
박연수 #자료구조 #JAVA Programming
안녕하세요 컴공과 박연수입니다.
-
엄지환 #JAVA Programming #LinuxServer
프로그래밍을 좋아하는 평범한 중딩입니다